협력모델 | 지원정책(안) | |
---|---|---|
유형A (협동 연구개발형) |
기술로드맵 공유 R&D → 기술활용 R&D |
|
유형B (공급망 연계형) |
양산평가시험 개방 공동기반 구축 (*공동Fab 또는 연구시설 등) |
|
협력모델 | 지원정책(안) | |
---|---|---|
유형C (공동 투자형) |
협력사공유 공동 개발·시설 투자 |
|
유형D (공동 재고확보형) |
공동구매, 보관 |
|
수요 기업과의 긴밀한 협력관계로 사업화 성공 |
A社는 반도체 전공정 장비 제조회사로 수요기업과 공동 기술개발, 성능평가, 장비 채택 등을통해 사업화 성공 (’14년, 3D 낸드 공정에 적용) *18년 매출액 2,870억원, 영업이익 580억원 해외 기술업 M&A를 통한 단기간 내 기술 확보 |
B社는 반도체 테스트소켓 제조사로 관련 기술을 보유한 해외 C社를 ‘14년 인수(특허권 포함), 특허분쟁 리스크 해소 및 글로벌 시장 지배력 강화 *매출액: 13년 570억원 14년 740억원 18년 1,020억원 장기간 기술개발 인내를 통한 사업화 성공 |
D社는 총 26년(1979년~2005년)에 걸친 장기간 연구개발을 통해 아라미드 섬유를 개발, 2005년 사업화에 성공하여 연평균 5,000톤 (약 1,500억원) 생산 중 수요기업의 기술로드맵과 미래시장에 대한 이해 |
E社는 수요대기업 출신 CEO의 전략과 신념에 따라 당시 해외에 의존하고 있던 차량용 전력반도체 기술개발 및 사업화에 성공 |